본문 바로가기
지금 여기

마음챙김: 자동적 삶에서 의식적 삶으로 – 엘렌 랭어의 통찰

by 조이~* 2025. 2. 11.

Mindfulness by Ellen Langer

 

엘렌 J. 랭어(Ellen J. Langer)는 ‘마음챙김(Mindfulness)’ 연구의 선구자로, 현대 심리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녀의 대표작 Mindfulness는 1989년 초판 출간 이후 꾸준히 사랑받아온 고전이다. 이 책은 우리가 일상에서 얼마나 자동적으로 반응하는지를 설명하며, 마음챙김을 통해 보다 의식적이고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1. 마음챙김 vs. 마음없음 (Mindfulness vs. Mindlessness)

랭어는 마음챙김을 "지속적인 주의와 개방성을 유지하는 상태"로 정의하며, 그 반대 개념인 마음없음(Mindlessness) 상태에 대해 경고한다.

Too often, we live our lives unconsciously. Automatic responses based on past experiences prevent us from seeing present opportunities.
우리는 너무 자주 무의식적으로 삶을 살아간다. 이전 경험에 기초한 자동적인 반응은 현재의 가능성을 놓치게 만든다.

 

즉, 마음없음 상태에서는 과거에 배운 고정된 방식으로 상황을 해석하며, 환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지 못하게 된다.

 

그녀는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했다. 연구진은 84명의 호텔 청소부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으며, 이들에게 그들의 일상 업무가 운동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했다. 한 연구에서 연구진은 호텔 청소부들에게 그들의 일이 얼마나 운동 효과가 있는지 설명했다. 놀랍게도, 단순히 이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을 뿐인데도, 몇 주 후 이들의 체중과 혈압이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것은 우리의 ‘의식적인 인식’이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2. 유연한 사고와 새로운 가능성

랭어는 우리가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이 실제 현실을 결정한다고 말한다.

Reality is not fixed; it is continuously reconstructed through our perceptions and interpretations.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인식과 해석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된다.

 

랭어는 ‘고정된 범주에서 벗어나기(Flexibility of Categories)’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존의 지식과 고정관념이 새로운 가능성을 가로막는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의학 연구에서 ‘치유되지 않는 질병’으로 분류된 상태도, 우리가 질병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저자는 한 연구를 소개한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으며, 이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한 후 인지 기능 변화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 실험 그룹의 기억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알츠하이머 환자들에게 ‘이제 당신은 더 이상 무력한 존재가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유도했을 때, 환자들의 인지 기능이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3. ‘지금 이 순간’의 중요성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을 있는 그대로 경험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If we do not experience the present, we are not truly living. Our lives slip away while we dwell on the past or worry about the future.
우리가 현재를 경험하지 않는다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의 삶은 과거를 회상하거나 미래를 걱정하는 사이에 흘러가 버린다.

 

랭어는 ‘현재에 집중하는 것’이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인다고 말한다. 그녀는 음악 연주자들과 운동선수들의 사례를 들며, 그들이 연습할 때보다 실제 공연이나 경기에서 더 좋은 성과를 내는 이유가 바로 ‘완전히 현재 순간에 집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4. 마음챙김과 건강

마음챙김은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랭어는 ‘역설적 효과(The Paradox Effect)’를 강조한다.

The more we try to suppress a thought, the stronger it becomes. Instead of resisting negative emotions, we should acknowledge and accept them through mindfulness.
어떤 생각을 억누르려 하면 오히려 그 생각이 더 강하게 떠오른다. 따라서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챙김을 통해 그것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랭어는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의 부정적인 감정과 싸우려 하기보다, 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마음챙김은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신체적 치유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그녀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암 환자들이 자신의 상태를 보다 긍정적이고 개방적으로 인식했을 때, 신체적 회복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5. 마음챙김을 실천하는 방법

랭어는 일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마음챙김 실천법을 제안한다.

  1. 습관적인 사고에서 벗어나기
    • 매일 같은 루틴을 따르기보다 새로운 시도를 해볼 것.
  2. 현재 순간을 의식적으로 경험하기
    • 식사를 할 때, 걸을 때, 대화를 할 때 ‘지금 여기’에 온전히 존재하기.
  3. 사물과 사건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기
    •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른 관점에서 해석해보기.
  4. 모든 경험을 배우는 기회로 활용하기
    • 실수를 두려워하기보다 그것을 학습의 기회로 삼기.

 

결론: 마음챙김을 통한 더 나은 삶

랭어는 우리의 삶이 단순한 ‘반복’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가 어떤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결정되며, 이는 마음챙김의 핵심 개념과 연결된다.

마음챙김은 선택의 자유를 제공한다. 우리가 상황을 바라보는 방식을 변화시키면, 삶의 질도 변화한다.

Mindfulness provides the freedom to choose. If we change how we perceive situations, we change the quality of our lives

 

그녀의 연구는 심리학뿐만 아니라 교육, 비즈니스, 의학,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며,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랭어의 Mindfulness은 우리가 현실을 바라보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책이다. 마음챙김을 실천함으로써, 우리는 더 의미 있고 충만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

 

▼함께 보면 좋은 엘렌 랭어의 다른 책 바로가기

 

 

습관적 학습에서 벗어나기: 엘렌 랭어의 마인드풀 러닝

The Power of Mindful Learning – Ellen J. Langer Mindfulness is n ot about sitting quietly in meditation; it’s about being actively engaged in the present moment.마음챙김은 조용히 앉아서 명상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순간에

happymind101.com

 

마음챙김과 건강, 마음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기

하버드 대학교의 사회심리학자 엘렌 J. 랭어(Ellen J. Langer)는 2009년에 출판된 Counterclockwise: Mindful Health and the Power of Possibility에서 노화, 건강, 그리고 마음챙김의 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

happymind101.com

 

마음챙김의 과학: 우리의 생각이 건강을 결정한다

엘렌 J. 랭어(Ellen J. Langer)의 『The Mindful Body: Thinking Our Way to Chronic Health』 소개 하버드 대학교 최초의 여성 심리학 정교수인 엘렌 J. 랭어(Ellen J. Langer)는 1970년대부터 마음챙김(mindfulness)과 신체

happymind101.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