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여기143 청소로 마음을 닦다: 승려의 하루 루틴 Matsumoto, S. (2018). A monk’s guide to a clean house and mind. Penguin Books. 『A Monk’s Guide to a Clean House and Mind』는 일본 불교 승려이자 청소 전문가인 쇼케이 마츠모토가 전하는 ‘청소 명상’의 지혜서입니다.저자는 청소를 단순히 집안일이 아니라 자신을 정화하는 마음 수행으로 바라봅니다.사찰에서 매일 반복되는 정갈한 청소의 습관이 어떻게 마음을 맑게 하고 삶을 단순하게 정리할 수 있는지를 일상의 언어로 들려줍니다. 왜 승려는 매일 아침 청소로 하루를 시작할까?사찰에서는 하루의 시작을 청소로 엽니다.이는 단순한 일상 루틴이 아니라, 마음을 닦는 수행”이자 “지금 이 순간을 살기 위한 마음챙김”입니다. 마츠.. 2025. 4. 23. 왜 불교는 진리인가 - 진화심리학과 명상의 과학적 통찰 『Why Buddhism Is True』(2017)는 로버트 라이트 Robert Wright 가 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현대 과학, 특히 진화심리학과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풀어낸 책입니다. 그는 불교에서 말하는 고통, 무아, 해탈이 단순한 종교적 교리가 아니라 인간 뇌의 진화적 메커니즘과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명상과 마음챙김이 이러한 뇌의 자동 반응을 넘어설 수 있는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도구임을 보여줍니다. 인간 고통의 근원은 어디서 오는가?라이트는 이 책에서 "붓다가 다윈을 만났을 때"라는 비유를 사용하여 불교와 진화심리학의 만남을 설명합니다. 진화는 우리 뇌를 생존에 최적화하도록 설계했지만, 그 과정에서 현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고통을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이 남아있게 되었습니다. 부처님은 이러한 고통의 메.. 2025. 4. 13. 어두운 시간을 밝히는 빛: Jack Kornfield의 마음챙김과 연민으로 어려움을 이겨내는 법 A Lamp in the Darkness: Illuminating the Path Through Difficult Times(2014)/Jack Kornfield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거나 불확실한 상황에서 길을 잃은 느낌이 들 때, 누구나 조금은 의지할 수 있는 존재가 필요합니다. Jack Kornfield 박사의 책, A Lamp in the Darkness: Illuminating the Path Through Difficult Times는 바로 그런 시기에서 우리를 이끌어주는 지침서입니다. 이 책은 불교의 지혜를 바탕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알려주며,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2014년에 출간된 이 책은 우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해 어떻게 마인드풀니스(마음.. 2025. 4. 12. 마음챙김, 명상, 알아차림 —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최근 들어 ‘마음챙김’, ‘명상’, ‘알아차림’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자기돌봄, 심리치유, 정신건강 분야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하지만 이 용어들이 정확히 어떻게 다르고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심리학적, 명상 연구 기반 논문들과 함께 불교적 관점도 포함하여 세 개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알아차림(Awareness)이란 무엇인가?알아차림은 인간이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는 주의 능력입니다. 내 마음과 몸, 주변 상황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능력을 말합니다."자기 내부 경험이나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의식적 주의." — Brown & Ryan (2003) 불교적 관점불교에서는 '알아차림'을 '사띠(Sati)'라고 부르며, 마음속에 떠오르.. 2025. 4. 11. 반복되는 감정 패턴에서 벗어나는 법 – 페마 초드론의 ‘도약’ 연습 낡은 습관과 두려움에서 벗어나기 – 페마 초드론의 Taking the Leap우리는 누구나 반복되는 습관과 두려움 속에서 살아갑니다. 같은 감정 패턴에 빠지고, 후회하는 말이나 행동을 반복하면서 ‘왜 또 그랬을까?’ 자책하게 되지요. 이 반복의 고리를 끊고자 할 때, 우리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무엇이 우리를 진정으로 자유롭게 만들 수 있을까요?티벳 불교의 스승이자 세계적인 마음챙김 지도자인 페마 초드론(Pema Chödrön)은 그녀의 책 Taking the Leap: Freeing Ourselves from Old Habits and Fears(2010)를 통해 그 해답을 아주 따뜻하고도 실질적인 언어로 들려줍니다.습관적 반응에서 자유로워지기페마 초드론은 우리가 ‘슴(Shem, Tibetan:.. 2025. 4. 11. 불편한 감정을 환영하라: Pema Chödrön이 전하는 진짜 자비의 시작 Pema Chödrön의 『Welcoming the Unwelcome』(2019) 세상은 아름답지만 동시에 너무도 부서지기 쉽습니다. 고통, 상실, 불확실성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마음을 열고 살아갈 수 있을까요?티베트 불교의 스승이자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작가 Pema Chödrön은 『Welcoming the Unwelcome: Wholehearted Living in a Brokenhearted World』에서 그 질문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시합니다.저자 소개: 고통의 순간 속에서 자비를 전하는 스승Pema Chödrön(페마 초드론)은 미국 출신의 티베트 불교 수행자이자 명상 지도자로, 티베트 불교 니잉마파의 대표적인 스승 중 한 명입니다. 『When Things Fall Apart』, 『The .. 2025. 4. 10. 보디사트바처럼 산다는 것: 페마 초드런이 들려주는 자비의 길 『Becoming Bodhisattvas: A Guidebook for Compassionate Action』(2018) – 자비로운 삶을 향한 안내서by Pema Chödrön 『Becoming Bodhisattvas』는 티베트 불교의 고전 『보디사트바의 길로 들어서기』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풀어낸 책이다. 이 책은 단순히 불교의 이론이나 교리를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생활 속에서 자비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명상이나 마음 훈련 같은 수행법뿐 아니라,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비로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서양 불자이자 명상 지도자인 페마 초드런은 이 고전을 쉽고 따뜻한 언어로 해석하며, 독자들이 삶 속에서 '보디사트바의 길'을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 있도록 안.. 2025. 4. 9. 페마 초드론이 전하는 보디사트바의 길: 지금 여기서 깨어 있기 「No Time to Lose: A Timely Guide to the Way of the Bodhisattva」(2005) 는 미국의 명상가이자 티베트 불교 스승인 페마 초드론이 쓴 책으로, 8세기 보디사트바 샨티데바(Shantideva)의 고전 「The Way of the Bodhisattva」 (Bodhicharyavatara)를 현대적으로 풀어낸 해설서입니다. 이 책은 '지금 이 순간'의 중요성과 함께, 우리가 어떻게 자기 중심성을 넘어 타인을 위한 삶, 즉 보디사트바의 길을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합니다.보디사트바의 길, 그 의미는?보디사트바는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며, 다른 이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을 자신의 삶의 핵심으로 삼는 사람"입니다. 이 책은 자비, 인내, 명상, 통찰 등 보디사트.. 2025. 4. 8.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 페마 초드론이 말하는 진정한 삶의 연습 2023년 10월에 출간된 파마 초드론(Pema Chödrön)의 신작 How We Live Is How We Die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삶을 진실하게 살아가는 수행의 길을 제시합니다. 『지금 이대로 좋다』, 『끝이 아닌 시작』 등으로 잘 알려진 그녀는 이번 책에서 ‘죽음’이라는 주제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되짚습니다.죽음은 삶의 반대가 아니다Death is not the opposite of life, but a part of it.죽음은 삶의 반대가 아니라, 삶의 일부다. 파마 초드론은 삶과 죽음을 하나의 흐름으로 봅니다. 우리가 삶의 고통, 상실, 불확실성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마주하느냐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방식도 달라진다고 말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죽음 준비서가 아니라.. 2025. 4. 7. 마음챙김을 넘어 자비로: 감정 회복을 위한 과학적 접근 Gilbert, P., & Choden. (2014). Mindful compassion: How the science of compassion can help you understand your emotions, live in the present, and connect deeply with others. New Harbinger Publications.마음챙김 자비: 자비의 과학이 어떻게 감정을 이해하고 현재에 살며 다른 사람들과 깊은 관계를 맺는데 도움이 될수 있을까우리는 우리가 선택한 감정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배워온 방식대로 감정을 경험한다.Paul Gilbert & Choden, Mindful Compassion 마음챙김이 단지 ‘조용히 호흡을 바라보는 것’이라면, 그게 우리 삶을.. 2025. 4. 4. 자리이타自利利他, 나와 세상을 함께 이롭게 하는 길 대승불교는 궁극적으로 자리이타(自利利他), 즉 자신도 이롭고 남도 이로운 삶을 지향합니다. 마치 촛불 하나가 다른 촛불을 밝히면서도 자신은 여전히 빛을 잃지 않는 것처럼, 나의 행복과 타인의 행복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입니다. 즉, 자신을 이롭게 하고 남도 이롭게 하는 삶을 이상으로 삼습니다. 이는 단순한 자기계발이나 이타주의가 아니라,스스로의 괴로움을 벗어나고(이고득락 離苦得樂), 남의 괴로움을 덜어주며(발고여락 拔苦與樂)함께 행복을 이루는 길입니다.그렇다면 어떻게 이 길을 걸을 수 있을까요? 바로 우리의 본래 모습을 회복하고, 거기서부터 삶을 다시 시작하는 ‘리셋 5단계’를 통해 가능합니다.1단계: 몸과 마음은 '아바타'일 뿐이다 – 대면관찰법우리의 고통은 '이 몸과 마음이 곧 나라고 착각하.. 2025. 4. 2.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