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여기

자기연민을 향한 마음챙김의 길: 파괴적인 생각과 감정에서 벗어나기

조이~* 2025. 2. 25. 08:38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 Freeing Yourself from Destructive Thoughts and Emotions(2009) 자기연민을 향한 마음챙김의 길: 파괴적인 생각과 감정에서 벗어나기

By Christopher Germer


우리는 흔히 다른 사람들에게는 친절하지만, 정작 자신에게는 가혹한 태도를 보이곤 합니다. "크리스토퍼 거머(Christopher Germer)"의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은 이러한 자기비판적인 태도를 내려놓고, 자기연민(self-compassion)을 통해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사는 방법을 안내하는 책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책의 주요 내용과 핵심 개념을 소개하고,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인용구들을 통해 자기연민이 왜 중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자기연민이란 무엇인가?

거머는 자기연민을 단순한 자기위로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친절하고 이해심 많은 태도를 가지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단순한 긍정적 사고가 아니라, 자신의 고통을 진심으로 인정하고 따뜻하게 감싸주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는 자기연민을 마음챙김(mindfulness), 공감(compassion), 인간다움(common humanity)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설명합니다.  마음챙김은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그대로 인정하는 것인데, 이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는 지금 스트레스를 받고 있구나"라고 인정하는 태도에서 시작됩니다. 공감은 친구가 힘들어할 때 따뜻하게 말해주듯이, 스스로에게도 부드럽고 친절한 말을 건네는 것입니다. 인간다움은 어려움을 겪는 것이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사람이 경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마음챙김(Mindfulness): 고통을 회피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
  • 공감(Compassion): 자신을 따뜻하고 친절하게 대하는 태도
  • 인간다움(Common Humanity): 고통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경험임을 이해하는 것

Self-compassion is simply giving the same kindness to ourselves that we would give to others.
자기연민이란 단순히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주는 친절을 자기 자신에게도 주는 것이다.

 

 

 

자기비판을 멈추고 자기연민을 키우는 법

거머는 우리가 왜 스스로를 비판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며, 자기비판을 줄이고 자기연민을 키우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자기비판적인 사람들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며, 우울증 발병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한 연구에서는 자기연민이 높은 사람들이 실패 후에도 더 빠르게 회복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1. 자기비판의 뿌리 이해하기

우리 사회는 성취를 중요하게 여기고, 실수를 허용하지 않는 분위기가 강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가혹하게 비판하며 "나는 부족해"라고 믿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오히려 우리의 성장과 행복을 방해할 뿐입니다.

You can’t stop the waves, but you can learn to surf.
파도를 멈출 수는 없지만, 서핑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이 말처럼, 우리의 부정적인 감정과 고통을 없앨 수는 없지만, 그것을 다루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2. 마음챙김 연습하기

거머는 마음챙김이 자기연민의 핵심이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종종 자신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억누르려고 하지만, 오히려 고통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이 자기연민의 시작입니다.

 

그는 고통스러운 감정을 경험할 때 다음과 같이 자신에게 말하라고 제안합니다.

  • "이것은 힘든 순간이야."
  • "고통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는 것이야."
  • "나는 지금 이 순간, 나 자신에게 친절할 수 있어."

Pain is inevitable, but suffering is optional.
고통은 피할 수 없지만, 괴로움은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감정을 억누르거나 부정하는 대신, 있는 그대로 바라볼 때 우리는 스스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치유할 수 있습니다.

 

3. 자기 자신과 친구처럼 대하기

거머는 "내가 사랑하는 친구가 나와 같은 상황에 처했다면, 어떤 말을 해줄까?"라고 자문해 보라고 합니다. 우리는 보통 친구에게는 따뜻한 조언을 해주지만, 정작 자신에게는 가혹한 말을 쏟아내곤 합니다.

Treat yourself as you would treat a good friend.
좋은 친구를 대하듯이 자신을 대하라.

 

이 연습을 하면, 스스로를 좀 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자기연민을 실천하면 삶이 달라진다

거머는 자기연민을 연습하면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다고 설명합니다.

 

✅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
✅ 감정적 회복력 향상
✅ 인간관계 개선
✅ 자기동기부여 증가
✅ 전반적인 행복감 상승

 

이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심리학 연구에서도 확인된 사실입니다. 실제로 자기연민이 높은 사람일수록 불안과 우울이 낮고,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존재합니다.

With self-compassion, we give ourselves the same kindness and care we’d give to a good friend.
자기연민을 통해 우리는 좋은 친구에게 주는 것과 같은 친절과 보살핌을 스스로에게 줄 수 있다.

 

 

결론: 자기연민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첫걸음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은 단순한 자기계발서가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주는 책입니다.

 

자기연민은 약함이 아니라, 강인한 정신을 기르는 방법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자기연민이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감정적 회복력이 뛰어나며, 우울과 불안이 감소하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자기연민이 높은 사람들이 실패를 경험했을 때 자기비판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보다 더 빠르게 회복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스로에게 따뜻한 태도를 가지면, 더 행복하고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 당신도 자신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나는 나 자신에게 친절할 자격이 있어.

May I be kind to myself in this moment.
이 순간, 나 자신에게 친절할 수 있기를.


 

이 책을 통해 자기연민을 연습하고, 더 깊고 의미 있는 삶을 만들어 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포스트

 

 

Mindful Self-Compassion 자기 자신을 수용하고 내면의 힘을 키우는 방법

The Mindful Self-Compassion Workbook자기연민 Self-Compassion 의 힘크리스틴 네프(Kristin Neff)와 크리스토퍼 거머(Christopher Germer)의 The Mindful Self-Compassion Workbook (2018)은 자기연민(Mindful Self-Compassion, MSC)을 실천

happymind101.com

 

 

강인한 자기연민: 여성들이 친절함을 통해 목소리를 내고 힘을 주장하며 잘 사는 방법

Fierce Self-Compassion: How Women Can Harness Kindness to Speak Up, Claim Their Power, and Thrive(2021)강인한 자기연민: 여성들이 친절함을 통해 목소리를 내고, 힘을 주장하며, 잘 사는 방법Kristin Neff 저크리스틴 네프

happymind101.com

 

 

Mindful Self-Compassion for Burnout, 마음챙김 자기연민 for 번아웃

소진 burnout을 위한 마인드풀 자기연민: 치유와 재충전을 위한 도구소진은 현대 사회의 유행병이 되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거의 77%의 직장인들이 소진 증상을 경험했다고 보고합니다. 우

happymind101.com